메인메뉴로 이동 본문으로 이동

컨텐츠 내용

  1. 고객센터
  2. OSS뉴스

OSS뉴스

OSS뉴스 조회 페이지
공개 소프트웨어가 가는 길 관리자 / 2020.07.14

공개 소프트웨어가 가는 길

 


 

“우리나라를 리눅스의 메카로 만듭시다.” 지난 2002년 야심 차게 외치는 정보통신부 서기관의 의지는 확고하고, 코엑스에 모인 수천 명의 젊음은 공개 소프트웨어(OSS) 기술을 배우고 토론하는 열기로 뜨거웠다. 개발자에 의해 공개된 코드는 누구나 사용·수정·배포가 가능한 OSS가 남의 코드를 공짜로(항상 무료는 아니지만) 갖고 싶은 호기심과 개발비용 절감 효과가 겹쳐 엄청난 매력을 발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Photo Image

 

 

1991년 핀란드 대학생 리누스 토르발스가 공개한 운용체계(OS) 리눅스가 많은 개발자 참여로 완성되고, 레드햇과 VR리눅스 등 기업들을 성공시켰다. 이제 OS 영역에서 사물인터넷(IoT), 데이터베이스(DB), 인공지능(AI) 등 분야로 확산해 소프트웨어(SW)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저렴한 도입·개발비 절감, 개발 시간 단축, SW 재활용과 협업을 통한 다양한 고객 수요 대응 등 여러 장점 때문이다.

우리나라 정부도 2002년 리눅스를 적극 지원하기로 약속하고 '공개SW활성화포럼' '공개소프트웨어협회' 설립을 지원,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정보통신부가 방송통신위원회(이명박 정부), 미래창조과학부(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문재인 정부)로 조직이 표류하는 불상사가 없었다면 OSS의 한 역사는 우리나라가 쓸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아 있다. 물론 안드로이드와 클라우드 시장 경쟁에서 빈번한 정부 조직 개편이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한 것에 견주면 조족지혈이긴 하다.

 

 

Photo Image

 

 

OSS는 공유 플랫폼 깃허브를 중심으로 5000만 이상이 코드를 공유하고 있으며, 2018년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수한 깃허브는 코드의 버전·협업 관리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구글·페이스북·애플·삼성전자 등 대기업의 적극 참여로 날개를 단 OSS는 공유경제 훨씬 이전에 등장한 공유 개발의 승리다. 그러나 우리나라 OSS의 위상은 정부의 강력한 육성 정책에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국방부, 우정사업본부 등 주요 부처가 올해 연이어 도입을 발표했지만 정부 정책만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개발 혁명은 타인의 코드를 보는 즐거움 이상으로 자신의 코드를 공개하는 적극성에서 발전하고 OSS 저작권을 인정해야 완성된다. OSS 커뮤니티에서 '눈팅'으로 일관하는 참여자가 대부분인 환경에서는 개인의 단기 이득 이상을 기대할 수 없다. 또 SW 독점은 포기하지만 저작권과 가치는 철저히 보장돼야 한다는 기본 원리를 인정해야 한다.

SW 공유는 불특정 다수가 수정된 코드를 깃허브를 통해 유통함으로써 항상 랜섬웨어, 바이러스 등 악성코드에 노출돼 있다. 깃허브가 코드QL(CodeQL)로 코드의 의미 분석을 지원하고 자동보안 업데이트 시스템도 개발하는 등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미흡하다. OSS 환경에서 보안의 최종 책임은 역시 사용자에게 있다.

 

 

Photo Image

 

 

OSS는 아파치소프트웨어재단(ASF)과 자유소프트웨어재단(FSF)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우리도 특정 비영리단체 중심으로 OSS를 통해 국가 개발 경쟁력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대기업이 참여하고 중소 전문기업을 육성하는 정책이 답이다. 글로벌 커뮤니티에는 개별 참여와 공동 참여가 공동전선을 구축할 때 한층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출처] 전자신문 (https://m.etnews.com/20200713000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