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b영역

컨텐츠 내용
- 온라인강좌
- 과정정보
과정정보
[저작권위원회] 오픈소스SW 라이선스의 이해
학습개요
교육 배경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기업 활용 급증
- 라이선스 위반으로 인한 법적 리스크 증가
- 개발자와 기업의 오픈소스 라이선스 이해 부족
- 체계적인 오픈소스 라이선스 교육 필요성 대두
교육 내용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념 이해
- 오픈소스의 정의와 특징
- 프리웨어, 쉐어웨어와의 차이점
- 오픈소스 생태계 현황
오픈소스 라이선스 기본 원리
- 상용 라이선스와의 차이점
- 라이선스 작동 메커니즘
- 권리와 의무의 상호관계
주요 오픈소스 라이선스 분석
- 퍼미시브 라이선스 (MIT, BSD, Apache 2.0)
-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GPL 2.0/3.0, LGPL, AGPL)
- 각 라이선스별 특징과 의무사항
실무 적용 사례와 주의사항
- GPL 파생저작물 범위 해석
- 기업 활용 전략
- 라이선스 선택 가이드
학습목표
지식 목표 (Knowledge)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주요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종류와 분류 기준을 구분할 수 있다
- 각 라이선스별 허용사항, 의무사항, 제한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 카피레프트와 퍼미시브 라이선스의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다
기능 목표 (Skill)
- 프로젝트에 적합한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선택할 수 있다
-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의무사항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 라이선스 호환성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다
- 기업 환경에서 오픈소스 활용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태도 목표 (Attitude)
- 오픈소스 라이선스 준수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기여 정신을 이해한다
- 지적재산권 보호 의식을 갖는다
- 법적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대상안내
소프트웨어 개발자
- 신입 개발자: 오픈소스 기초 지식 습득 필요
- 중급 개발자: 프로젝트 리드 역할 수행 예정
- 시니어 개발자: 아키텍처 설계 시 라이선스 고려 필요
기업 관리자
- 개발팀 리더: 팀 내 오픈소스 활용 가이드라인 수립
- 프로젝트 매니저: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담당
- CTO/기술임원: 기업 기술 전략 수립 책임
오픈소스 관리 담당자
- 라이선스 관리자: 전사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담당
- 법무팀: 지적재산권 관련 업무 수행
- 품질보증팀: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 업무
수료/과락 기준
평가기준 | 진도 | 시험 | 과제 | 토론 | 기타 |
---|---|---|---|---|---|
배점 | 100% | 0% | 0% | 0% | 0% |
과락기준 | 60% | 0점 | 0점 | 0점 | 0점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과락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차시 | 강의명 |
---|---|
1차시 | [저작권위원회] 오픈소스SW 라이선스의 이해 |